리눅스 파일과 폴더의 권한에 관하여
권한의 종류
- 읽기 (read) : 파일을 읽을 수 있는 권한
- 쓰기 (Write) : 파일을 수정하거나, 쓰거나, 지울 수 있는 권한
- 실행 (Execute) :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
권한 보기
ls -l 또는 ll
ex)
※권한구성
권한은 총 10개의 문자로 구성 / 4 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 1번째 문자
- : 파일이라는 표시
d : 폴더/디렉토리라는 표시
l : 링크라는 표시
-> 2~4번째 문자
: 파일 주인의 읽기,쓰기,실행하기 권한
-> 5~7번째 문자
: 파일 주인이 속한 그룹의 읽기,쓰기,실행하기 권한
-> 8~10번째 문자
: 그 외 유저들의 읽기,쓰기,실행하기 권한
예)
-rwxrw-r--
1번째 문자 -로 파일인것을 확인
2~4번째 문자 rwx로 파일 주인이 읽기,쓰기,실행하기가 전부 가능한것을 확인
5~7번째 문자 rw-로 파일 주인이 속한 그룹이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것을 확인
8~10번째 문자 r--로 파일 주인과 그룹 외에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한 것을 확인
권한 변경
: 권한 변경은 chmod 명령을 사용.
ex) chmod [변경하고자하는 권한 값] [파일 혹은 디렉토리] -> chmod 777 test.txt
권한 고유 값
권한 마다 부여된 고유 숫자가 있다.
r = 4
w = 2
x = 1
★chmod 명령은 총 세개의 숫자를 지정해줘야한다.
-> 하나의 숫자가 하나의 그룹을 대표한다.
예로 모든 그룹에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싶다면 r,w,x의 합인 7을 세번 쓰면 된다.
-> chmod 777 test.txt =>test.txt를 아무나 읽기/수정하기/실행하기가 가능하게 변경
-> chmod 744 test.txt => test.txt를 파일주인만 모든 권한을 가지고 나머지는 읽기 권한만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