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 썸네일형 리스트형 ls / ll (파일 목록 조회) ls : 해당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목록을 표시해주는 역할 ll : ls 명령어에 -l 옵션을 준 형태를 표시해주는 역할 1. ls a. 실행 b. 숨겨진 파일 보기 : -a c. 권한,소유자,갱신일 확인 : -l 2. ll (ls -al 했을때 같은 결과값이 나왔었다.) a. 실행 grep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방법 텍스트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이 들어간 행을 찾아 출력하는 명령어 -> 주로 log파일에서 특정 날짜, 문자로 기록된 error 메시지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옵션 #grep 옵션 [문자열] [파일명] -b : 문자와 일치하는 줄의 시작점 출력 -c : 문자와 일치하는 줄의 수 출력 -h : 여러 파일에서 문자열을 찾을 때, 파일 이름이 붙는 것을 방지 -i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n : 줄의 번호와 내용을 같이 출력 -v : 문자가 표함되지 않는 행 출력 -w : 문자와 한 단어로 일치해야 출력 -r : 하위 디렉토리에서도 문자를 찾는다. -A : 특정문자 아래 추가로 여러 행 출력 -B : 특정문자 위 추가로 여러행 출력 2. 자주 사용하는 형식 grep "^문자열" : .. 리눅스 - man 명령어 EX) man rm -> rm명령어의 메뉴얼을 확인한다. 이처럼 man 다음에 찾고 싶은 명령어를 입력 리눅스 man 메뉴얼 사용법 q키 - 나가기 (quit) h키 - man 사용법 확인 (help) 위, 아래 화살표키, 엔터키 - 한줄씩 넘기기 Page Up, Page Down 스페이스바 - 한 페이지씩 넘기기 ★슬래시(/)키 다음에 검색할 문자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름 ex) /terminal -> n키를 누르면 다음 문자를 찾는다 -> N키를 누르면 이전 문자를 찾는다. ping, traceroute, telnet 사용법 1. ping :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사용법 -> ping [목적지 IP주소] ex) ping 192.168.0.33 목적지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고 응답받은 시간을 맨 오른쪽에 표시 응답이 오지 않거나 시간이 1000ms 이상 걸리면 중간에 문제가 발생한것이라 간주. 2. telnet : 서버접속은 되지 않고 위와같이 ping 테스트를 했는데도 이상이 없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는지 확인해야한다. 사용법 telnet [목적지 IP주소] [어플리케이션 port 정보] ex) telnet 172.0.0.1 22 ★ telnet: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 Connection refused 와 같은 결과를 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종료 되었거나.. 리눅스 cat 명령어 사용법 (파일 확인, 합병, 생성) 입출력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 기호 방향 의미 > 표준 출력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 파일로 저장 >> 표준 출력 (추가)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 기존 파일에 추가하여 저장 new_file1 2. file1 + file2 + file3 내용을 new_file123라는 이름으로 생성 cat file1 file2 file3 > new_file123 3. file2의 내용을 file1에 추가 cat file2 >> file1 ★생성될 파일명이 이미 존재할 경우 파일 내용이 그대로 덮어 씌워짐 // 방안으로 > 대신 >> 사용하면 기존 파일 내용을 지우지 않고 대상 파일의 내용을 아래에 추가 입력 내용을 파일로 저장 1. file.txt 에 happy 라는 내용 입력 후 저장 cat > file.t..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나의 계정 확인하기 - logname / whoami / id 1. logname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을 출력해준다. -> logname 명령어는 utmp(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는 로그파일)파일에서 읽은 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명령 수행. 2. whoami 자신이 누구인지 실질적인 사용자 아이디(계정)을 출력해주는 명령어 ★logname이 정말 로그인했을때 그 계정을 출력한다면, whoami는 현재 사용중인 실질적인 아이디를 출력 logname이 utmp를 참조한다면, whoami 명령어는 utmp 파일을 검사하지 않는다. 3. id 시스템에 등록된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uid,gid, 속한 그룹 정보 등등..) 추가 : id 옵션 ls 명령어와 옵션 ls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에 대한 리스트를 보여준다. -a : 숨김파일(.으로 시작) 포함하여 디렉토리의 모든 항목 표시 -d : 디렉토리 정보만 표시 (-l과 함게 사용) -F : 디렉토리인 경우 /(슬래시), 파일이 실행 가능한 경우 *(별표), 파일이 소켓인 경우 =(등호), 파일이 선입선출(FIFO)인경우 |(파이프), 기호 링크인 경우 @를 각 파일 이름의 뒤에 추가 -l : 각 파일의 모드, 링크 수, 소유자, 그룹, 크기(바이트) 최종 수정시간을 표시. -m : 쉼표로 구분 -r : 역순으로 -R : 하위의 서브디렉토리의 내용도 순차적으로 표시 -s : 킬로바이트 단위로 -t : 최종 수정시간을 기준으로 -u : 최종 수정시간 대신 최종 액세스 시간(-t 또는 -l 과 함께 사용해야..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