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0)
케이크린 - 에어컨 & 세탁기 분해 청소 후기 케이크린 : http://www.korea-clean.co.kr/ 케이크린 카카오톡 : https://pf.kakao.com/_XWymj BEFORE AFTER
Network - 인터넷 & 웹 동작 과정 및 원리 인터넷이란? ->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 *IP주소 : 우리가 사는 집에도 주소가 있듯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마다 고유의 주소를 지정 네트워크 망 1. 위성 통신 위성이 커버할 수 있는 영역안에 있다면 어디에 있든지간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 위성을 통한 네트워크는 위성으로 무선통신을 해야할것이고 위성에서 목적지를 향해 다시 무선통신을 해주어야 한다. -> 굉장히 느림 2. 광 케이블 통신 일반적으로(특히 우리나라)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초고속 인터넷이라고 하면 광케이블 통신 방식 레이저를 이용해서 통신하기 때문에 구리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장거리 & 고속 통신이 가능 단 직접 연결해..
Network - TCP / UDP의 개념과 특징, 차이점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TCP / UDP ) -> TCP와 UDP는 OSI 표준모델과 TCP/IP 모델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와 UDP는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것과 데이터 오류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재하는 두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정확성(TCP)을 추구할지 신속성(UDP)을 추구할지를 구분하여 나뉜다.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받고 싶을 때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사용 TCP는 통신할 컴퓨터끼리 ‘보냈습니다’, ‘도착했습니다’라고 서로 확인 메시지를 보내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높인다. 웹이나 메일, 파일 공유 등과 같이 데이터를 누락시키고 싶지 않은 서비스 데이터의 신뢰성은 제쳐두..
Network - TCP / IP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 인터넷으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개별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 인터넷의 기본 통신 언어 한 컴퓨터가 데이터 패킷을 컴파일하고 올바른 위치로 전송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 TCP ->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져 와서 패킷으로 컴파일 한 다음 동료 TCP 계층에서 수신하도록 전송하여 패킷을 유용한 정보 / 데이터로 바꾸는 역할 TCP는 전달받은 패킷을 재조립하고, 패킷에 손상이 있거나 손실된 패킷이 있다면 재전송을 요청하는 패킷을 전송하여 재전송 IP ->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로, 인터..
Network - OSI 7계층 총 정리 OSI 참조 모델이란?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간의 데이터 통신 시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등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 1. OSI참조 모델의 목적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념을 규정 OSI 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범위를 정합니다. 관련 규정의 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한 공통적 기반을 제공 2.OSI 참조 모델의 기본원칙 적절한 수의 계층으로 나누어 시스템의 복잡도를 최소화 서비스 접점의 경계를 두어 상호 작용이 적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프로세스나 기술적인 면에서 명백히 다른 기능을 처리하도록 계층을 분리..
Network - 통신 프로토콜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표준 규칙과 절차의 집합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문서를 모두 규정하는 말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 (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등을 규정 의미 (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 시간 (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을 규정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1. 단편화와 재결합 송신 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에 알맞은 일정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작업을 단편화(Fragmentation) 수신 측에서 단편화된 블록을 원래의..
Network - 여러가지 네트워크 장비 종류 1. 허브 (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2. 리피터 (Repeater) -> 전송되는 신호가 전송 선로의 특성 및 외부 충격 등의 요인으로인해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근접한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로,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 3. 브리지 (Bridge)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세그먼트)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 데이터 링크중 MAC계층에서 사용되므로 MAC브리지라고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