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허브 (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
2. 리피터 (Repeater)
-> 전송되는 신호가 전송 선로의 특성 및 외부 충격 등의 요인으로인해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근접한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로,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
3. 브리지 (Bridge)
->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세그먼트)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
- 데이터 링크중 MAC계층에서 사용되므로 MAC브리지라고도 한다.
- 네트워크 상의 많은 단말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4. 라우터 (Router)
->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의 연결 기능에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도 수행
-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접속 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제어표에 저장하여 보관
- 3계층(네트워크 계층)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
5. 게이트웨이 (Gateway)
-> 전계층(1~7계층)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
-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
반응형
'네트워크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TCP / IP (0) | 2022.04.18 |
---|---|
Network - OSI 7계층 총 정리 (0) | 2022.04.18 |
Network - 통신 프로토콜 (0) | 2022.04.18 |
Network - LAN(근거리 통신망)이란? (0) | 2022.04.18 |
Network - 네트워크의 정의와 종류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