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할수 있는것
- 어떤 연결을 통해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
- 몇 개의 독립적인 장치가 적절한 영역내에서 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데이타 통신 체계
네트워크의 장단점
1. 장점
- 파일공유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의 파일에 접근
- 미디어 스트리밍 - 사진,음악 또는 비디오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
- 프린터 공유 - 한대의 프린터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람이 사용 가능
- 네트워크 게임 -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과 만나 PC, 게임 콘솔 등을 통해 네트워크 게임을 즐김
- 무선 네트워크 - 무선전파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로 책상에서 벗어나 웹작업 가능
2. 단점
- 바이러스 또는 악성코드
- 해킹의 위협 - 개인정보유출, 데이터 변조
네트워크의 종류
- PAN ( Personal Area Network )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LAN ( Local Area Network )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 WAN (Wide Ares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 VAN (Value Added Network) : 부가가치 통신망 정보의 축적과 제공, 통신속도와 형식의 변화, 통신경로의 선택 등 여러 종류의 정보서비스가 부가된 통신망.
-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종합정보 통신망(=BISDN) 전화, 팩스, 데이터 통신, 비디오텍스 등 통신관련 서비스를 종합하여 다루는 통합서비스 디지털 통신망. 디지털 전송방식과 광섬유 케이블 사용. 꿈의 통신망
추가적인 네트워크 종류로는 WLAN, SAN, CAN, GAN, VPN, ISDN, Intranet, Extranet..등으로 분류
네트워크의 회선구성 방식
: 회선구성 방식은 컴퓨터와 여러대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식을 뜻한다.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언제든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 방식
- 멀티 드롭 방식 : 멀티 포인트 방식이라고도 하며 다수의 단말기들을 한개의 통신 회선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 회선 다중 방식 : 회선 다중방식은 다중화 방식이라고도 합니다. 여러대의 단말기들을 다중화 장치를 활용하여 중앙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네트워크의 데이터 교환 방식
- 회선 교환 방식 : 회선 교환 방식은 하며 통신을 원하는 두 지점을 교환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속시키는 방법을 말합니다. 음성 전화망이 대표적.
- 공간 분할 교환 방식 : 기계식 접점과 전자교환기의 전자식 접점 등을 이용하여 교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음성 전화용 교환기가 이에 속합니다.
- 시분할 교환 방식 : 전자부품이 갖는 고속성과 디지털 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디지털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동작시켜 다중화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반응형
'네트워크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TCP / IP (0) | 2022.04.18 |
---|---|
Network - OSI 7계층 총 정리 (0) | 2022.04.18 |
Network - 통신 프로토콜 (0) | 2022.04.18 |
Network - 여러가지 네트워크 장비 종류 (0) | 2022.04.18 |
Network - LAN(근거리 통신망)이란? (0) | 2022.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