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LAN 이란?
: 학교, 회사, 연구소 등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형태
LAN의 특징
- 단일 기관의 소유, 제한된 지역 내의 통신
- 광대역 전송 매체의 사용으로 고속 통신이 가능
- 공유 매체를 사용하므로 경로 선택 없이 매체에 연결된 모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
- 오류 발생률이 낮습니다.
- 네트워크에 포함된 자원을 공유
- 네트워크의 확장이나 재배치가 쉽습니다.
- 전송매체로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들을 사용
- 망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성형, 버스형, 링형, 계층형으로 분류
LAN의 이용 효과 및 장점
- 자원의 효율적인 백업이 가능
- 다른 기종 간의 통신에서 사무 처리의 능률화가 극대화
- 파일 공유에 따른 처리의 효율화 및 통일된 관리가 가능
- 기기 자원의 공유에 따른 이용 효율의 향상과 경비 절감효과
- 분산 처리로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
LAN의 구축형태
1. Bus Topology (버스형)
-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으며 모든 노드 들이 버스에 T 자형으로 연결 되어 상호 Point - to - Poing 형태
- 각 노드들의 연결은 어뎁터(Adapter)를 사용하며 양 끝 단에 Terminator를 둔다.
- 각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
- CSMA/CD 방식을 주로 사용, 케이블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적게 드는 편
2. Ring Topology (링형)
- 통신제어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장거리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
- 링(Ring) 형태를 이루지만 노드간 통신은 Point - to - Point
- 각 노드에서 신호 재생이 가능 하기 때문에 버스 형태와 달리 거리 제약이 적으며 잡음에도 강함
3. Star Topology (스타형/성형)
- 중앙 제어 방식으로 모든 기기가 Point - to - Point 방식으로 연결 되어 있으며 문제 해결이 쉽다
- 하나의 기기의 고장은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중앙 제어 장비가 고장이 나면 모든 시스템에 영향
- 케이블 사용량이 많으며 비용 또한 큰 편
4. Mash Topology (메쉬형)
-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들이 연결되어진 형태
- 연결 된 기기나 노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이 가능,.어떠한 경우에도 네트워크가 동작한다는 장점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수가 많을 경우 모든 기기와 연결 해야 하기 때문에 케이블 사용량이 많다
- 구조 또한 복잡하여 네트워크 관리가 힘들어 진다는 단점
LAN 환경에서 여러 Topology는 장, 단점을 가진다.
비용, 거리, 설치 시간, 환경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형태의 토폴로지를 구축하는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
- 여러가지 LAN의 연결 모델중에서 비용이 적게 들고, 적은 규모에서 적합한 토폴로지는 버스 또는 스타형
- 네트워크 구축이후 확상이 가능한 형태의 토폴로지는 스타 형
- 네트워크 트래픽 량이 많아 원할한 통신을 원한다면 링형
- 절대 장애가 나서는 안될 환경이라면 메쉬형
반응형
'네트워크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TCP / IP (0) | 2022.04.18 |
---|---|
Network - OSI 7계층 총 정리 (0) | 2022.04.18 |
Network - 통신 프로토콜 (0) | 2022.04.18 |
Network - 여러가지 네트워크 장비 종류 (0) | 2022.04.18 |
Network - 네트워크의 정의와 종류 (0) | 2022.04.18 |